여수시, 전국 최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등 제도적 기반 마련
금융·고용·민생 전방위 지원···기업·소상공인에 실질적 혜택

여수시가 최근 여수국가산단을 중심으로 촉발된 산업단지 위기를 산업 구조 개편의 기회로 삼고 전 방위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여수시 제공)

[빛가람뉴스=곽유나 기자] 여수시가 최근 여수국가산단을 중심으로 촉발된 산업단지 위기를 산업 구조 개편의 기회로 삼고 전 방위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전남도와 공동으로 민관산학연이 참여한 석유화학산업 위기대응 협의체를 발족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고, 이를 통해 전국 최초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이끌어냈다.

또 규제 완화 및 인프라 개선과 관련해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검사기준의 합리화와 광양4단계 공업용수 예타 통과 등 현장 기업이 체감할 17건의 규제혁신 과제를 발굴해 중앙정부에 건의했다.

정부와 업계에서도 올해 안에 국내 NCC 설비의 25% 감축 계획을 밝히는 등 구조 재편을 서두르고 있다.

최근 여수국가산단은 세계적인 원자재 공급 과잉과 경쟁 심화로 가동률 하락, 산업 경쟁력 약화라는 위기를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금융과 고용, 지역 경제 등 다방면의 지원책을 본격화하고 있다.

정책금융기관은 협력업체에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등 금융 부담 완화 방안을 시행하고 있고, 신용보증기금도 특례보증으로 보증비율과 보증료를 인하했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역시 저리 긴급경영안정자금을 늘려 경영 회복을 돕고 있다.

산업통상부 역시 석유화학기업과 협력사를 대상으로 대출 한도 및 운전자금 대출이자 지원을 확대했다. 고용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여수시는 플랜트 매출 감소에 대응해 고용 안정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고용유지지원금 요건 완화, 맞춤형 지원 등을 통해 약 100억 원을 투입, 지역 고용망을 더 촘촘하게 만들었다.

경기 둔화와 세수 감소 속에서도 시는 생계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산업위기지역 지정으로 추가 확보한 국비를 활용해 여름철에는 특별 할인 상품권을 대규모로 발행하며 소비 심리 회복을 도왔다.

지방세 수입 감소에는 지방교부세 증액 연장을 통해 예산 공백을 보완했다. 이와 더불어 시는 산업 구조를 친환경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공성 전극 소재, 탄소 중립 기반 NCC 공정 개발 등 미래 산업을 겨냥한 R&D 공모사업 유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방투자촉진보조금 확대 등으로 연구개발과 상용화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기명 여수시장은 “여수국가산단은 1967년 조성 이후 최대의 도전 앞에 있다”며 “지역 기업, 유관기관과 힘을 합쳐 이번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전환점으로 만들고, 반드시 기회였음을 입증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빛가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