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기숙사 수용률 저조 추세 여전. 국·공립대 28.05%, 사립대 20.42%

▲ 대학생 10명 중 8명에게는 그림의 떡? 대학 기숙사 수용률 20%대 그쳐

[빛가람뉴스=조인호 기자] 대학생들이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취업난뿐만 아니라 주거난 역시 고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기숙사 수용규모는 여전히 재학생 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해 해결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남국의원실에서 교육부 제출자료를 분석한 결과 작년 4월 기준 전체 대학의 기숙사 평균 수용률은 21.92%로 2021년 23.0%, 2020년 23.3%에 이은 20%대를 기록했다.

설립유형별로는 국·공립대 28.05%, 사립대 20.42%로 국·공립대 기숙사 수용률이 사립대보다는 높았다.

다만 기숙사별로 확인한 결과 국·공립대 77개교 중 34개 대학이 수용률 30%에도 미치지 못해 대학 기숙사 전반의 저조한 수용률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운영 기숙사의 수용률이 가장 낮은 국·공립대는 진주교대로 11.4%를 기록한 서울시립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들 대학 기숙사가 수용 가능한 비율은 재학생 10명 중 1명꼴이라는 얘기다.

아울러 10개 거점국립대 모두 기숙사 수용률이 30%가 채 되지 않은 국·공립대 목록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산대는 유일한 10%대 수용률을 보이며 거점국립대 중 최하위로 집계됐다.

대학생활을 앞둔 학생이 대학 소재지가 아닌 다른 지역 출신인 경우, 가장 큰 걱정거리는 주거공간을 마련하는 일이다.

학생·학부모 입장에서는 통학상 편의와 안전, 고물가에 따른 경제적 부담 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까닭에 대학 기숙사가 주요 선택지로 여겨지곤 했다.

일례로 지난달 한 부동산 정보 플랫폼 운영사가 발표한 ‘서울 주요 대학가 원룸 평균 월세 비교’에 따르면, 보증금으로 1천만원을 받는 서울 대학가 소재 원룸의 월세는 평균 59만원대였다.

반면 작년 월평균 대학 기숙사비는 운영형태별로 달랐으나 8만원에서 45만원 수준으로 전체 평균은 23만원 안팎으로 나타났다.

대학 기숙사의 수용률 향상 및 안정화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높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김남국 의원은 지난 4월 ‘고등교육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한 바 있다.

해당 법률안은 대학 기숙사비 납부방식 다양화 외에 국·공립대 기숙사 수용률 제고 의무화를 내용으로 한다.

김 의원은 “대학 기숙사는 학생들의 생활편익과 안전을 보장하는 시설이다”며 “기숙사 수용률이 곧 대학생들의 학내 복지와도 직결됨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아르바이트로 경제력을 충당하는 대학생들에게 최근의 전·월세난과 고물가 현상은 더욱 가혹할 수밖에 없다”며 “학업과 구직활동을 병행하며 사회생활을 준비해나가야 하는 학생들의 거주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찾아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빛가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