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동구, ‘2025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 과기부장관상 수상
AI 기반 자원순환 혁신으로 골목 쓰레기 문제 해결에 앞장
[빛가람뉴스=이종화 기자] 광주 동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2025 대한민국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드’에서 과기부장관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 개인, 기업, 기관을 대상으로 시상하는 제도다.
동구는 전국 최초로 인공지능 종량제 배출함과 청소차 도착 정보 서비스를 도입하여 자원순환 혁신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원순환 앱 ‘동구라미 온’을 통해 시민들이 손쉽게 자원순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편의를 높였고, 골목 쓰레기 문제 해결에 새로운 전망을 제시했다는 점이 인정됐다. AI 종량제 배출함은 광주 동구가 특허를 출원한 것으로, 인공지능이 종량제봉투만 인식해 자동으로 투입구를 여닫는 기능을 갖췄다.
또한 CCTV와 보안등, 태양광 패널을 함께 적용해 불법투기를 막고 골목길을 더 안전하게 밝혀주며 에너지 사용도 줄였다.
현재 동구는 민간기업과 협력해 배출함의 경량화, 제작비 절감, 디자인 개선, 상용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빅데이터 기반 청소차 도착 정보 서비스도 도입되어 쓰레기 배출 시스템을 한층 안정화시켰으며,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처럼 전국 확대와 필수 플랫폼으로의 정착이 기대되고 있다.
특히 동구라미 온을 이용해 주민이 직접 쓰레기를 치울 경우 포인트가 지급돼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이외에도 캔과 페트병 회수기 위치·상태, 다회용기 대여, 다양한 프로그램 신청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동구는 지난해 7월 환경부 탄소포인트 예비 참여기업으로 선정됐고, 11월부터는 광주 최초로 동구라미 온과 탄소포인트 연계 정책을 시작해 카페에서 텀블러를 사용하는 시민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있다.
임택 동구청장은 "동구의 탄소중립 정책은 AI와 온·오프라인 플랫폼, 주민 실천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며 "최초 개발과 특허 등 시대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실제로도 많은 기업과 단체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앞으로도 주민 생활에 편리함을 더하는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