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보다 사람, 지원보다 자생력이 중요”

“광주에서 공동체 만들기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곳이 광산구다. 주로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주민들이 주도하고, 어려운 점이 생기면 행정에서 풀어주는 ‘건강한’ 거버넌스(Governance) 방식이 광산형 지역공동체의 모습이길 바란다.”

지난 1일 광산구공익활동지원센터(이하 공익활동센터)가 있는 수완지구 원당산공원 어울마루에서 공동체 만들기 민관합동 정책 워크숍이 열렸다. ‘광산형 지역공동체 어떻게 만들 것인가’의 제목으로 광산구와 공익활동센터가 주관한 행사다.

마을만들기 등 공동체에 관심 있는 광산구민과 사회단체 활동가, 광산구 관계자 등 100여 명은 이날 워크숍에서 광산구만의 특성을 담은 공동체를 어떻게 만들고, 활성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열띤 토론을 벌였다.

광산구의 마을만들기 우수사례를 들은 후 이어진 토론회에서 푸른광주21협의회의 김경일 사무총장은 광산형 지역공동체의 방향으로 주민주도, 행정 뒷받침의 ‘건강한’ 거버넌스 형태를 제안해 참가자들의 공감대를 얻었다.

공익활동센터 윤난실 센터장은 “마을공동체의 시작과 끝은 사람이고, 조례나 공모사업 같은 행·재정적 지원은 윤활유일 뿐이다”며 “주객이 전도되는 일을 경계하면서 공익활동센터가 광산형 공동체의 산실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본격적인 토론에서 광산구 작은도서관연합회 김연주 회장은 “공동체와 관련해 마을·아파트 마다 작은도서관 설립이 붐인데 관(官)의 지원이 끊기면 과연 살아남을 곳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어 김회장은 “공동체 만들기는 사업보다는 사람에, 지원보다는 자생력에 초점을 맞춰야 하고, 관은 여기에 참여한 사람들의 명예를 북돋우고, 기를 살려주는 방향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광산구 교육도서관과 조인숙 팀장은 “보다 많은 주민들이 공동체 활동가들의 노고를 인정해주는 것이 먼저다”고 답변한 후 “행정에서도 이 분들이 자긍심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토론회에서는 아파트나 마을별로 공동체 기금을 조성하자는 의견, 아파트 자치회와 부녀회가 평등한 입장에서 공동체 만들기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의견, 아파트 간 교류와 네트워킹이 필요하다는 의견 등도 제시됐다.
 

저작권자 © 빛가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