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외 강제동원 생존자도 급격히 줄어 / 2018년 현재 5,245명 불과

일제강점기 국외 강제동원 피해자 가운데 현재 생존자는 5,245명에 그치고, 이중 여성 생존자는 187명으로 확인됐다.

▲ 광주시청에 건립된 소녀의상 (자료사진)
▲ 광주시청에 건립된 소녀의상 (자료사진)

23일 모임에 따르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최근 행정자치부에 올해 국외 강제동원 생존자 의료지원금 지급 현황에 대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정부는 현재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국외강제동원 희생자 중 생존 피해자에 대해 2009년부터 매년 80만원의 의료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확인 결과 지난 2월 지급된 의료지원금 수급자는 전국적으로 5,245명으로, 이 중 여성 생존자는 187명이었다.

다만, 이 수치에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29명은 포함돼 있지 않다.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는 이미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별도의 지원을 받고 있어, 강제동원 특별법 의료지원금 대상과는 무관하다.

매년 지급되는 연도별 의료지원금 수급자 현황을 통해 생존자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데, 광복 70여년이 넘어가면서 급격히 생존자 수가 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도별 의료지원금 지급대상자 수는 ▲2011년 1만 7,148명을 최고 정점으로 ▲2012년 1만6,014명 ▲2013년 1만3,854명 ▲2014년 1만1,717명으로 해마다 줄어들었고, ▲2015년 9,937명으로 1만 명 선 아래로 감소한 뒤 ▲2016년 8,075명 ▲2017년 6,570명으로 줄었다가 ▲2018년 5,245명으로 현격히 줄어들었다. 이 중, ▲광주는 121명 ▲전남은 544명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 강제동원 여성 생존자 187명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24명 ▲부산 22명 ▲대구 4명 ▲인천 7명 ▲광주 12명 ▲대전 9명 ▲울산 1명 ▲경기 23명 ▲강원 5명 ▲충북 5명 ▲충남 4명 ▲전북 14명 ▲전남 19명 ▲경북 13명 ▲경남 25명이며, 제주도와 세종시는 국외 일제 강제동원 여성 생존 피해자가 한 명도 없었다.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 관계자는 “14세 어린 나이에 동원된 근로정신대 피해 할머니들마저 90세에 이르고, 군인이나 노무자도 동원된 남성의 경우 이미 90대 중반을 넘어 대부분 병마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며 “생존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빛가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