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07~’11) 산악사고 구조활동 현황발표 / 소방방재청, 단풍철 산악사고 예방수칙 및 대처요령 익혀야

소방방재청(청장 이기환)은  다가오는 10월 설악산을 시작으로 한 단풍이 중순부터 전국적으로 절정기에 달해 산행인구 증가와 더불어 산악안전사고가 늘어날 것이 예상됨에 따라 가을 단풍철 산악사고 구조․구급 특별대책을 수립 추진하기로 했다.

소방방재청이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우선 최근 5년前 대비(‘06년/’11년) 국립공원 탐방객 추이를 살펴보면  ‘06년 2,678만명에 비해 ’11년에는 4,080만명으로 52% 증가하였고 ‘10년도에는 ’11년도 보다 많은 4,268만명이 산행을 즐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1년도 월별 산행인구를 살펴보면 전체 4,080만명 중 9월~11월 단풍철 기간 중 전체의 34%인 1,388만명이 산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년 10월에는 가을 기간이 짧고, 맑은 날씨가 많아 단풍이 절정기에 이르면서 등산객이 일시에 산으로 몰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산악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어느 해 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국립공원별 탐방객수를 비교해 보면 ‘11년 가을철(9~11월) 탐방객 1,388만명 중 북한산이 240만명(18%)으로 제일 많았으며, 설악산 157만명(11.3%)순으로, 이는 북한산의 경우 수도권과 인접하여 주말에 많은 사람들이 산을 찾고 있으며, 설악산은 비선대, 대청봉 등 단풍철 관광명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5년간(‘07~’11년)산악사고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5년 평균 6,847건 중 하루평균 19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2011년 산악사고 7,826건중 단풍이 최고조에 달한 9∼10월 사이 전체 25%인 2,000여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각별히 안전사고에 주의해야 한다.

사고 유형별로는 실족 및 추락이 400여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지병, 길 잃음․실종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에는 음주 후 산행이나 체력을 감안하지 않는 무리한 산행으로 탈진, 호흡곤란, 마비 등의 사고로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하지 않고 임의대로 산행하다 조난사고도 발생하고 있다.

 산악사고 예방수칙으로는 산행은 아침 일찍 시작, 해지기 한두 시간 전에 마치고, 2인 이상 등산하되 일행 중 가장 약한 사람을 기준으로 산행하여야 한다.  또한 등산화는 발에 잘 맞고 통기성과 방수능력이 좋은 것을 착용하고 산행 중에는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지 말고 조금씩 자주 섭취하여야 한다.

사고 발생시 행동요령으로는  등산로에 설치된 119 구조 위치 표지판 번호를 숙지하여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히 119로 도움을 요청해야 하고  저체온 증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체온을 유지시켜 주는 재질의 등산복과 여벌의 옷, 마스크, 모자 등 준비해야 한다.

소방방재청은 단풍철 특별 구조구급 대책으로  산악위험지역 등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안전표지판 및 안전시설 노후화 상태를 점검 후 보수 및 정비 하였고  산악사고 다발지역에 대해 취약대상 관리카드를 작성 등산객에게 긴급대피 가능 장소를 안내하는 한편 헬기 이착륙 가능지점을 정비, 유사시 소방헬기를 긴급 투입하고 있다

또한 단풍철 기간 내(9월~10월) 등산 목 안전지키기 활동을 전개하여 주요 등산로 일대에 구조 구급대를 근접배치하고 등산객에 대해 상비의약품을 제공하고 산악사고 방지 홍보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사고 다발 등산로 구간의 유동순찰을 통해 산악사고 방지 및 산불예방 홍보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2012년 등산목 안전지킴이 배치 현황]

시도

배치개소

배치 장소

구조대원

구급대원

의소대

구조차

구급차

기타

주요장비

합계

291

(전국 주요 등산로)

358

722

580

90

263

22

2750

서울

8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16

21

0

3

7

0

39

부산

23

금정산, 황령산, 금련산

29

45

64

7

19

3

138

대구

7

팔공산, 성암산, 와룡산

2

10

0

0

6

0

128

인천

23

마니산, 정족산, 청량산

38

44

0

11

18

0

69

광주

5

무등산, 금당산, 제석산

21

15

0

5

5

0

156

대전

9

식장산, 계족산, 보문산

0

18

0

0

9

0

180

울산

14

가지산, 문수산, 대운산

36

28

319

2

14

4

100

경기

44

광교산, 남한산성, 용문산

53

90

17

18

44

1

923

강원

26

치악산, 소금강, 태백산, 설악산, 오대산

10

39

58

2

19

6

44

충북

15

속리산, 구룡산, 두타산

32

22

14

8

13

4

159

충남

21

계룡산, 대둔산, 가야산

59

41

78

15

20

4

203

전북

8

내장산, 덕유산, 지리산

25

22

0

5

8

0

58

전남

10

유달산, 지리산, 월출산

10

18

0

3

9

0

84

경북

20

주왕산, 소백산, 속리산

3

38

30

1

19

0

143

경남

56

지리산, 화왕산, 천성산

24

267

0

8

53

0

296

제주

2

한        라      산

0

4

0

2

0

0

30


 

저작권자 © 빛가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